본문 바로가기

배터리

애플, 아이패드 프로 - 분해 결과, 배터리 에어2보다 40%증가, 곧 국내출시 예상 애플, 아이패드 프로 - 분해 결과, 배터리 에어2보다 40%증가, 곧 국내출시 예상 11일 출시한 애플 아이패드 프로의 분해 보고서가 iFixit을 통해 공개되었습니다. 이들이 분해한 모델은 아이패드 프로 와이파이 32GB로 로직보드에 A9X 64비트 프로세서, SK하이닉스 LPDDR4 RAM 2GB*2, 도시바 32GB 낸드 플래시 등이 확인되었습니다. 아이패드 프로는 12.9인치인 최대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만큼 에어2(7340mAh)보다 약 40% 증가한 10307mAh의 거대한 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한편 iFixit은 애플 아이패드 프로의 수리가 매우 까다로운 편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한국 출시는 아이패드 프로는 인증 절차가 통과되는대로 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더보기
IFA 2015 : 삼성 - 오르비스, 갤럭시 노트5, 갤럭시 엣지2 함께 공개 IFA 2015 : 삼성 - 오르비스, 갤럭시 노트5, 갤럭시 엣지2 함께 공개 샘모바일에 따르면, 삼성의 차세대 원형 디스플레이 스마트워치 '오르비스(기어A)'와 '젠프로젝트(갤럭시 엣지2)','노블 프로젝트(갤럭시 노트5)'을 함께 다가오는 9월 열리는 IFA 2015에서 선보일 예정입니다. - '기어A(오르비스)'는 원형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는 삼성 차세대 스마트워치로 크라운 형태의 전원 버튼, 회전 베젤링, 무선 충전기능(배터리: 4~5일 사용가능)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기어A는 엑시노스 7420, 타이젠 OS를 통해 구동되며, 블루투스 제품(SM-R720)과 자체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제품(SKT:SM-R732S, KT-SM-R732K, LGU+:SM-R732L)으로 출시됩니다. - '젠프로젝.. 더보기
S6 자기유도방식 무선충전내장/ 아이폰6 VS S6 비교이미지 공개 iPhone 6 vs Galaxy S6 비교 이미지 공개 gottabemobile이 갤럭시S6와 아이폰6를 비교한 렌더링 이미지를 공개했습니다. 사진을 보면 갤럭시S6는 아이폰6와 굉장히 비슷해 보입니다. 한편 갤럭시 S6와 S엣지는 자기유도 방식 무선충전 (Qi규격)을 내장하여 별도의 케이스 필요없이 무선충전기를 바로 사용할 수 있을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S6에 적용되는 무선충전은 Qi표준으로 타사의 충전기로도 사용가능하며, 지난번에 전해드렸듯이 테이블에서 무선충전을 지원하는 스타벅스에서도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런 무선충전방식의 적용은 일체형 배터리 디자인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보이며, 무선충전을 지원하기 위해 후면에는 글래스를 적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람과 사람.. 더보기
프로젝트 아라의 배터리모듈 공개 프로젝트 아라의 배터리모듈 공개 최근 오디오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모듈이 공개되고 있는 중 배터리모듈이 공개되었습니다. 구글의 '프로젝트 아라'에 사용되는 배터리 모듈은 'Solid Energy'의 것으로, 동일 용량으로 1/2 크기에 제조가능하여 작은크기의 모듈로 아라폰의 사용시간을 늘려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또한 시제품의 경우 기존 제품보다 20%까지 저렴한 하며 발열도 적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보기
아이폰 케이스 - 통신속도 2배, 배터리수명연장 아이폰 케이스 - 통신속도 2배, 배터리수명연장 '리치 79' 아이폰케이스는 내장 안테나의 전파 수신 감도를 증폭해 통신속도를 2배 빠르게 만들어주며 배터리 사용시간을 개선해준다고합니다. 제조사에 따르면 전파를 찾으려고 배터리를 낭비하지 않기에 배터리 수명이 높아진다고 전합니다, 다만 전파 수신 감도가 증폭되는 효과는 단말기를 손에 들고있거나 귀에 대고 있을때에 한정되어있습니다. 가격은 약 6만4천원으로 현재 판매중인 리치79는 미국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곧 타지역 버전과 안드로이드 버전도 선보일 예쩡이라고합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세상, 연결의 혁신으로 더 큰 세상을 만듭니다. betterly 김경태 더보기
걸으면 전기생산하는 신발 개발 걸으면 전기생산하는 신발 개발 독일 빌링겐슈베닝겐의 한 연구소에서 보행중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아직 휴대폰을 충전시킬 정도의 능력은 아니지만 웨어러블 기기의 전자센서를 가동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전해집니다. 보행중 발뒤꿈치가 땅을 치는 충격과 발을 내딛는 흔들림으로 전기를 생산한다고 하며, 현재는 약 3-4밀리와트 정도를 생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200밀리와트정도의 전력이 필요한 휴대폰은 아직 불가능합니다, 더보기